굿을 포함하는 세 글자의 단어: 26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85개 🐩세 글자: 268개 네 글자:123개 다섯 글자:78개 여섯 글자 이상:84개 모든 글자:639개

  • 두레굿 : (1)‘풍물놀이’를 달리 이르는 말.
  • 내당굿 : (1)안방이나 대청에서 성주신, 조상신, 삼신에게 먼저 굿을 고하는 절차. (2)안당 앞에 굿상을 차려 놓고 밖에서 떠도는 서낭신, 손님신 따위를 모셔다 놓고 하는 굿.
  • 뜰항굿 : (1)‘홍역’의 방언
  • 콩노굿 : (1)콩의 꽃.
  • 굿하다 : (1)무당이 노래와 춤 따위로 의식을 행하다.
  • 광대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상쇠의 개인 놀이 가락.
  • 굿 : (1)‘가게’의 방언
  • 방틀굿 : (1)땅속으로 곧게 파 내려가 ‘井’ 자 모양으로 만든 방틀을 쌓아 올린 광산 구덩이.
  • 오기굿 : (1)‘오구굿’의 방언
  • 굿 : (1)‘아귀힘’의 방언
  • 우환굿 : (1)집안에 우환이 있을 때에 하는 굿.
  • 당산굿 : (1)당산에서 마을을 위하여 제사를 지낼 때에, 풍물놀이를 하며 노는 굿.
  • 싯겜굿 : (1)‘씻김굿’의 방언
  • 굿 : (1)‘절굿공이’의 방언
  • 새암굿 : (1)마을의 공동 우물에 물이 잘 나오라고 치성을 드리는 일. 음력 정월 중 수신(水神)이 내려오는 날을 점쳐서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 세 명이 한밤중에 우물가에서 드린다. ⇒규범 표기는 ‘샘굿’이다.
  • 낙성굿 : (1)집을 다 짓고 나서 하는 굿.
  • 오귀굿 : (1)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하여 극락왕생을 하기를 비는 굿. 대개 죽은 지 한 해나 두 해 뒤에 한다. ⇒규범 표기는 ‘오구굿’이다.
  • 지신굿 : (1)땅을 다스리는 신령을 위하는 굿.
  • 맞이굿 : (1)‘영고’의 방언
  • 천왕굿 : (1)동해안(東海岸) 지역에서 행하는 별신굿의 한 거리.
  • 기신굿 : (1)동네 사람들이 도당에 모여 그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 무당이 주재한다는 점이 동신제와 다르다.
  • 우물굿 : (1)마을의 공동 우물에 물이 잘 나오라고 치성을 드리는 일. 음력 정월 중 수신(水神)이 내려오는 날을 점쳐서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 세 명이 한밤중에 우물가에서 드린다.
  • 전야굿 : (1)기념일의 전날 밤에 하는 굿.
  • 제왕굿 : (1)삼신에게 아기를 낳게 해 달라고 또는 낳은 뒤에 오래 살게 해 달라고 비는 굿.
  • 결혼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총각과 처녀로 죽은 넋을 달래 준다. 총각의 무덤을 처녀의 무덤 옆으로 옮기거나 서로 합장하여 혼인 시킨 뒤, 그날 밤 총각 집 뜰에 차일을 두 곳에 치고 각각 넋을 씻긴다.
  • 탈복굿 : (1)전라도 풍물놀이 판굿에서, 농악대원 모두가 농악복을 벗으면서 하는 놀이.
  • 고사굿 : (1)강원도에서 음력 정월에 의식으로 하는 풍물. 풍물패가 집집마다 돌면서 한 해의 복을 빌어 주는 행사로서 경상 지신밟기, 전라 지신밟기에 해당한다.
  • 굿 : (1)‘상엿집’의 방언
  • 거리굿 : (1)길에서 하는 굿. (2)하회 별신굿 탈놀이에서, 마지막 날 마을 앞길에 제물을 차려 놓고 하는 굿. (3)동해안 별신굿의 맨 마지막 거리. 잡신을 풀어 먹여 보낸다. (4)굿에 모였던 귀신들에게 밥을 주고 경문을 읽어 마지막으로 귀신들을 보내는 굿.
  • 망월굿 : (1)음력 정월 대보름날 달이 떠오를 때에 달집에 불을 지르며 노는 풍속. 달집이 훨훨 타야만 마을이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고 한다. 그해 액운이 든 사람의 저고리 동정이나 동정에 생년월일시를 쓴 종이를 붙여 함께 태우기도 한다.
  • 방심굿 : (1)지노귀굿 절차의 하나.
  • 굿 : (1)구구법을 이용하여 어떤 수를 다른 수와 곱함. 또는 그런 셈.
  • 허천굿 : (1)하회 별신굿 탈놀이에서, 마지막 날 마을 앞길에 제물을 차려 놓고 하는 굿.
  • 강낭굿 : (1)풋옥수수를 이삭 껍질째로 쪄 내는 일
  • 노래굿 : (1)호남(湖南) 풍물놀이에서, 상쇠가 전원을 한 줄로 세워 놓고 진양조장단으로 소리를 하는 과정.
  • 굿거리 : (1)무당이 굿할 때에 치는 9박자의 장단. (2)풍물놀이에 쓰이는 느린 4박자의 장단. 일반적인 굿거리장단과 남도 굿거리장단이 있으며, 보통 행진곡과 춤의 반주에 쓴다. ⇒규범 표기는 ‘굿거리장단’이다.
  • 쪽박굿 : (1)돌림병이 돌 때, 집집마다 마루나 토방에 쪽박을 문질러 그 요란한 소리로 병마를 놀래어 쫓는 굿. 바가지 대신 베 짜는 북을 문지르기도 한다.
  • 띠배굿 : (1)전라북도 부안군 위도에서 전해 오는 굿. 정월 초사흗날 바닷가 당집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비는 제사를 지내고, 띠로 만든 배에 허수아비를 실어 보내 묵은해의 불행한 운수를 씻어 낸다.
  • 장진굿 : (1)호남 풍물놀이 가운데 문굿의 첫째 거리. 휘모리장단에 맞추어 농기(農旗), 태평소, 영기(領旗), 상쇠, 부쇠, 종쇠, 장구, 소고, 잡색(雜色) 따위가 한 줄로 들어와 상쇠의 지휘에 따라 함께 인사를 한다.
  • 사례굿 : (1)굿을 하고 난 후 소원이 이루어졌다 하여 귀신에게 고마운 뜻을 전하려고 하는 굿.
  • 퇴송굿 : (1)뒷전풀이로 하는 굿.
  • 물롱굿 : (1)‘무릇’의 방언
  • 예배 굿 : (1)신이나 조상 등에 대하여 경배를 나타내는 의식으로서의 굿.
  • 축원굿 : (1)하는 일이 잘되게 하여 달라고 신에게 비는 굿.
  • 풍류굿 : (1)호남 지방의 풍물놀이에 쓰이는 장단의 하나.
  • 부정굿 : (1)무당굿의 열두 거리 가운데 첫째 거리. 신들을 청하기 전에 부정한 것을 깨끗이 하는 것을 이른다.
  • 두린굿 : (1)제주에서, 미친 증세를 낫게 하려고 베푸는 굿.
  • 마당굿 : (1)대문 밖 마당에서, 굿에 모여들었던 귀신들을 보내는 마지막의 굿.
  • 앉은굿 : (1)장구를 치지 아니하고, 춤도 추지 아니하면서 하는 굿의 하나.
  • 굿파수 : (1)굿단속하는 일을 맡은 사람. ⇒규범 표기는 ‘굿반수’이다.
  • 군웅굿 : (1)별신굿에서, 무녀가 놋동이를 입에 물고 장군신을 모시는 굿.
  • 불사굿 : (1)무당의 열두 거리 굿 가운데 하나. 제석신을 받들기 위하여 하는 굿으로 불교적 색채가 강하다.
  • 천도굿 : (1)죽은 사람의 넋을 극락으로 보내는 굿.
  • 굿 : (1)‘절구’의 방언
  • 쌍진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두 진으로 나누어 치는 가락. 또는 그 가락에 맞추어 취하는 동작.
  • 새남굿 : (1)서울 지역에서, 죽은 사람의 넋을 극락으로 인도하기 위해 하는 굿.
  • 굿 : (1)‘절굿공이’의 방언
  • 굿 : (1)‘바윗돌’의 방언
  • 불찍굿 : (1)제주에서, 불을 내는 귀신을 물리치고 복을 빌려고 베푸는 굿.
  • 굿재이 : (1)‘광대’의 방언 (2)‘무당’의 방언
  • 장승굿 : (1)장승에게 마을의 안녕이나 풍농을 기원하기 위하여 비는 굿.
  • 굿중패 : (1)굿중의 무리.
  • 병신굿 : (1)병신이나 다름없는 못난 짓.
  • 얼림굿 : (1)풍물놀이 판굿에서 원형으로 행진하는 춤.
  • 굿자리 : (1)굿을 하기 위한 자리.
  • 입춘굿 : (1)제주도에서 입춘을 맞아 행하는 굿. 관청에서 주관하던 행사로 무당들이 모여 농사짓는 과정을 흉내를 내면서 풍년을 기원한다.
  • 사자굿 : (1)죽은 사람을 극락으로 잘 보내 달라고 저승사자에게 비는 굿.
  • 굿 : (1)‘입심’의 방언
  • 영산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현악 영산회상곡의 한 가락.
  • 대동굿 : (1)황해도의 해주, 옹진, 연평도 지역과 평안도 지역에서 성행하였던 마을굿. 지역 수호신인 당신(堂神)에게 마을의 평안과 생업의 번창을 기원하는 굿으로, 서해안 일대에서 행해지는 풍어제와 유사하다.
  • 수륙굿 : (1)물과 육지의 홀로 떠도는 귀신들과 아귀(餓鬼)에게 공양하는 재.
  • 굿 : (1)‘마구간’의 방언
  • 성문굿 : (1)호남 풍물놀이에서, 상쇠가 문잡는굿의 두 줄로 된 대형에서 한 사람씩 차례로 영기를 돌아 모두 데리고 나오는 놀이.
  • 무당굿 : (1)무당이 주관하여 벌이는 굿.
  • 연등굿 : (1)음력 설날에서 정월 대보름날 사이에 제주에서 행하는 풍속의 하나. 신들을 즐겁게 할 목적으로 장대 끝에 채색 비단으로 말 머리 모양을 만들고 밤에 등불을 달고 돌아다닌다.
  • 화해굿 : (1)동해안 별신굿 굿거리의 하나. 각 마을의 신이 만나서 화해한다는 뜻을 지닌다.
  • 성주굿 : (1)집의 수호신으로 성주를 새로 모시는 굿.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를 한 뒤 또는 남자 주인인 대주(大主)의 나이가 17세, 27세, 37세 따위와 같이 7 자가 되는 해의 10월에 날을 가려 한다. ⇒규범 표기는 ‘성줏굿’이다.
  • 혼례굿 : (1)총각과 처녀로 죽은 혼백을 달래려고 그 영혼들의 혼례를 올려 주는 굿.
  • 씨름굿 : (1)씨름판에서 벌어진 씨름을 구경거리로 이르는 말.
  • 굿놀음 : (1)굿에서 무당이 여러 가지 재주를 부리는 행위.
  • 굿 : (1)삼굿의 아궁이 위에 쌓아 놓는 돌.
  • 굿 : (1)‘밑깔이짚’의 방언
  • 노랫굿 : (1)노래를 부르며 하는 굿.
  • 물렁굿 : (1)‘무릇’의 방언
  • 전체굿 : (1)‘까닭’의 방언
  • 범탈굿 : (1)동해안 별신굿에서 행하는 굿의 하나. 범한테 물려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호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하는 굿으로, 무당들이 범의 탈을 쓰고 나와 춤추고 논다.
  • 난장굿 : (1)병신을 가장하여 서민들의 애환을 나타내던 굿.
  • 우마굿 : (1)소나 말이 잘 자라게 해 달라고 비는 굿.
  • 굿마당 : (1)굿의 요소를 가미한 공연이나 마당놀이.
  • 경사굿 : (1)집안에 재수가 형통하기를 비는 굿. (2)진도 씻김굿의 하나. 조상의 비를 세울 때 그 넋이 영화를 누리라고 행한다. (3)진도 씻김굿의 하나. 집안에 경사가 있을 때 조상 모두에게 조상의 은덕이라고 행한다.
  • 오구굿 : (1)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하여 극락왕생을 하기를 비는 굿. 대개 죽은 지 한 해나 두 해 뒤에 한다.
  • 망자굿 : (1)죽은 사람을 극락으로 인도하기 위하여 하는 굿.
  • 타살굿 : (1)돼지나 소를 잡아 제물(祭物)로 바치는 굿.
  • 시무굿 : (1)죽은 사람을 극락으로 잘 보내 달라고 저승사자에게 비는 굿.
  • 산대굿 : (1)산대놀음에 하는 굿.
  • 하당굿 : (1)은산 별신제 절차의 하나. 상당의 강신굿에 이어 하당에 제상을 차리고 하는 굿이다.
  • 걸립굿 : (1)마을의 공동 기금이 필요할 때, 걸립패들이 돈과 곡식을 거두면서 노는 굿. 대개 문굿, 들당산굿, 샘굿, 집돌이, 날당산굿의 순서로 되어 있다. (2)무당굿 열두 거리의 하나. 무당이 걸립신을 위해 하는 굿이다. (3)무당이 단골집이나 일반 가정을 상대로 쌀이나 돈을 얻으려고 돌아다니며 하는 굿. 제사를 지낼 때 무당이 계면굿을 하는 경우에는 집주인의 행운과 태평을 빈다.
  • 굿감독 : (1)굿단속하는 일을 맡은 사람.
  • 풍물굿 : (1)풍물놀이와 함께 하는 굿.
  • 굿 : (1)‘송곳니’의 방언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 (99개) : 굿, 굿갈리다, 굿감독, 굿거, 굿거리, 굿거리가락, 굿거리굿, 굿거리 시조, 굿거리장단, 굿거리춤, 굿 거버넌스, 굿것, 굿게, 굿 구경 간 어미 기다리듯, 굿 구경을 하려면 계면떡이 나오도록, 굿극, 굿길, 굿 나이트, 굿 나잇, 굿놀음, 굿 놀이, 굿단두리, 굿단속, 굿단속하다, 굿당, 굿덕대, 굿도 볼 겸 떡도 먹을 겸, 굿돌, 굿 뒤에 날장구[쌍장구] (친다), 굿 들은 무당 재 들은 중 ...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9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굿을 포함하는 세 글자 단어는 26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